맨위로가기

부자와 나사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자와 나사로는 누가복음 16장 19-31절에 나오는 예수의 비유이다. 이 비유는 부자와 거지 나사로의 대조적인 삶과 죽음 이후의 운명을 통해, 재물에 대한 태도와 자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부자는 호화로운 삶을 살았지만, 가난한 거지 나사로를 외면했고, 죽은 후 지옥에서 고통받는다. 반면, 나사로는 죽어 아브라함의 품에 안겨 위로를 받는다. 이 비유는 사후 세계, 영혼의 불멸, 그리고 현세에서의 삶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낳았으며, 문학과 예술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2. 본문

'''부자와 나사로''' 비유는 신약성경 루카 복음서 16장 19절부터 31절에 등장하는 예수의 비유이다. 이 비유는 가난하고 병든 나사로에게 동정심을 보이지 않았던 어떤 부자가 죽은 후에 겪는 일들을 이야기한다.

약 1160년대 영국에서 제작된 Eadwine 시편의 서문 사이클 세부, 모건 도서관 M.521 (recto) 잎


부자와 나사로
(그림) 에두아르트 폰 게르하르트

2. 1. 누가복음 16:19–31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는 신약성경 루카 복음서 (16:19-31)에 등장하는 예수가 말한 비유이다. 가난하고 병든 나사로에게 동정심을 갖지 않았던 어떤 부자의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결말을 이야기하고 있다.

3. 해석

예수가 누가복음 16장 19절에서 31절에 걸쳐 이야기한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는 가난하고 병든 나사로에게 동정을 베풀지 않은 부자가 죽은 뒤 어떤 결말을 맞이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비유는 바리새인들의 아브라함의 품에 대한 믿음에 대한 풍자로 해석되기도 한다.[18] E. W. 불린저는 이를 요한복음 12장 10절에 나오는 나사로의 부활에 대한 믿음 부족과 연결 짓기도 한다.[19] 불린저는 누가복음에서 이 구절을 "비유"라고 명시하지 않은 것은 내세에 대한 견해를 풍자하기 위한 의도라고 주장한다.[20]

사두개인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되기도 하며,[23][24][25][26] 1860년대에서 1890년대 사이 프랑스에서 대중화되기도 했다.[27]

일부 학자들은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의 기본적인 줄거리가 이집트 민간 설화인 시-오시리스에 대한 유대인 이야기에서 파생되었다고 본다.[40][41]

대한민국에서는 이 비유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양극화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부자는 기득권층, 나사로는 소외된 사회적 약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진보 진영에서는 이 비유를 통해 사회 정의 실현과 공동체 의식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예수는 이 비유에 앞서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누가 16:1-13)를 통해 하나님과 재물을 동시에 섬길 수 없다고 가르쳤다. 돈에 집착하는 바리새파 사람들이 예수를 비웃자(누가 16:14), 예수는 그들을 비판하며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를 통해 나사로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은 "부자"와 같다고 비유했다. 그리고 명예와 부에 집착하여 자비심, 즉 가난한 사람이나 약한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을 잃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회개를 촉구했다.

3. 1. 다양한 해석

성 제롬 등 일부는 이 이야기를 비유가 아닌,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야기한 실제 사건으로 본다.[10][11][12] 이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이야기 속의 중요한 세부 사항, 즉 다른 비유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개인 이름(나사로)의 사용을 지적한다. 반면에, 다른 모든 비유에서 예수는 중심 인물을 "어떤 사람", "씨 뿌리는 자"와 같은 묘사로 언급한다.[13]

톰 라이트[15]와 요아힘 예레미아스[16]는 둘 다 이를 "비유"로 여기는데, 이들은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가 언어와 내용(예: 운명의 역전, 대조, 가난한 사람에 대한 관심) 면에서 다른 비유들과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마르틴 루터는 이 이야기가 현세의 부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비유이며, 내세에 대한 세부 내용은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다.

존 라이트풋(1602–1675)은 이 비유를 바리새인들의 아브라함의 품에 대한 믿음에 대한 풍자로 여겼다.[18] E. W. 불린저는 《Companion Bible》에서 라이트풋의 의견을 인용하며,[19] 이를 역사 속 인물 나사로의 부활(요한복음 12:10)에 대한 믿음 부족과 연결하여 확장했다. 불린저는 누가가 이 구절을 "비유"로 특정하지 않은 것은 내세에 대한 견해에 대한 풍자를 담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20]

이 비유는 사두개인에 대한 공격으로 해석되기도 한다.[23][24][25][26] 1860년대에서 1890년대 사이에 아베 드리우의 그림 성경에 포함되어 프랑스에서 대중화되었다.[27]

성공회 신학자 사이먼 페리(Simon Perry)는 이 비유에 나오는 나사로(Lazarus, "엘리에저"의 약칭)가 아브라함의 종인 다마스쿠스의 엘리에저를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예수께서는 나사로를 아브라함의 품에 초대함으로써 언약의 본질을 재정의하고 있다.[28]

가톨릭 독일 신학자 프리드리히 유스투스 크네히트(1921년 사망)[29]는 이 비유가 "위안과 경고를 위해 미래의 상태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고 말한다.[30]

3. 2. 유대교 자료와의 관계

G. B. 케어드,[36] 요아킴 예레미아스,[37] I. 하워드 마셜,[38] 휴고 그레스만[39] 등 일부 학자들은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의 기본적인 줄거리가 이집트 민간 설화인 시-오시리스에 대한 유대인 이야기에서 파생되었다고 제안한다.[40][41] 리처드 보컴은 덜 확신하며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42]

> 어쨌든, [예수는] [이집트 및 유대인 이야기에서도 발견되는 모티프]를 사용하여 기존 이야기와는 다른 새로운 이야기를 구성했다. ...[물론] 다른 이야기에서 그들이 기능하는 방식과의 비교는 그들이 비유에서 기능하는 방식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부자와 가난한 자에 대한 이집트와 유대인의 이야기와의 유사점과 대조점은 유익할 수 있다...[43]

스티븐 콕스는 비유가 모방할 수 있는 유대 신화의 다른 요소를 강조한다.[44][45]

3. 3. 한국적 해석

대한민국에서는 이 비유를 통해 사회적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고,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부자의 모습은 기득권층, 나사로의 모습은 소외된 사회적 약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진보 진영에서는 이 비유를 통해 사회 정의 실현과 공동체 의식 회복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예수는 이 비유를 말하기 전에 "불의한 청지기"의 비유(누가 16:1-13)를 말씀하시며 하나님과 재물을 모두 섬길 수 없다고 가르치셨다. 돈에 집착하는 바리새파 사람들이 예수를 비웃자(누가 16:14), 예수는 그들을 비판하며 "부자와 나사로"의 비유를 말씀하시고, 그들을 나사로에게 아무런 자비심도 없었던 "부자"에 비유했다. 그리고 명예와 부에 집착하여 자비심, 즉 가난한 사람이나 약한 사람을 사랑하는 마음을 잃는 것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그 경고는 언제나 회개에 대한 초청이었다.

4. 사후세계 교리

이 비유는 죽음 이후에도 영혼이 정체성과 기억을 유지한다는 것을 가르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49] 영혼불멸과 개별 심판을 믿는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이 이야기를 교리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거나, 초기 교회의 교부였던 리옹의 이레네오처럼 이 교리를 확립하기 위해 이 이야기를 언급하기도 한다.[31]

기독교적 유한론 또는 "영혼 수면"과 같이 영혼의 유한성과 최후의 심판만을 믿는 E. W. Bullinger와 같은 일부 성공회 신자들도 존재한다.[32] 영혼의 유한성과 최후의 심판을 지지하는 재림 기독교인, 조건부 멸망주의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 여호와의 증인, 크리스텔피안, 그리고 기독교 보편주의자들은 이것이 아브라함의 품에 대한 유대교적 견해의 틀을 사용한 비유이며, 비유적이며, 중간 상태에 대한 결정적인 가르침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반면 니케아 신경을 따르는 기독교 교파들은 그러한 견해가 기독교 초창기에 영혼의 유한성을 지지하는 지지자나 전통이 없었으며, 중세 시대가 끝난 후에야 생겨났다고 주장한다.[33][34]

5. 문학과 예술에서의 유산

에두아르트 폰 게르하르트는 부자와 나사로의 이야기를 그림으로 표현했다.[76] 부르주 대성당에는 이 이야기를 묘사한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남아있으며,[48] 릴라 수도원에도 관련 프레스코화가 있다.

부르주 대성당의 부자와 나사로 스테인드글라스


릴라 수도원의 나사로와 부자 프레스코


5. 1. 초기 기독교 및 중세 전통

로마의 히폴리투스(서기 200년경)는 하데스아브라함의 품, 불의 고통, 그리고 그들 사이의 심연으로 묘사한다.[46] 그는 하데스의 불을 요한 계시록에 묘사된 불의 호수와 동일시하지만, 종말이 될 때까지 아무도 실제로 불 속에 던져지지 않을 것이라고 명시한다.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dives'' (라틴어로 '부자'를 의미)라는 라틴어 표현이 고유 명사처럼 사용되기도 한다. 이 이야기는 중세 시대에 비유가 아닌 사실로 취급되었으며, 나사로는 나병 환자의 수호 성인으로 숭배받았다.[47] 12세기에 예루살렘 왕국십자군은 성 라자루스 기사단을 창설했는데, 이 기사단은 나병 환자를 돕고 기독교 신앙을 지키는 데 헌신했다.[72]

5. 2. 문학

제프리 초서의 《소환사 이야기》에는 "디베스와 나사로는 다르게 살았고, 그들의 보상은 달랐다"는 구절이 있다.[57]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헨리 4세 1부》에서 존 팰스태프 경은 친구 바돌프의 얼굴을 조롱하며 이 이야기를 언급하며, 그것을 메멘토 모리에 비유한다. "네 얼굴을 보면 지옥불과 자색 옷을 입고 살던 디베스, 불타고, 불타고 있는 그를 생각하게 된다" (III, 3, 30–33). 《헨리 5세》에서 팰스태프의 죽음을 회상할 때, 하늘에 있는 나사로에 대한 묘사("아브라함의 품 안에")는 "그는 아서의 품 안에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아서의 품 안에 들어갔다면" (II. 3, 7–8)과 같이 패러디된다.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 의식이 있는 소설에서 디베스와 나사로는 사회적 분리를 나타내는 이미지로 자주 등장한다.[58] 엘리자베스 개스켈의 《메리 바튼》(1848)에는 "노동자와 주인은 디베스와 나사로처럼 분리되어 있다" "아, 디베스와 나사로처럼, 그 사이에 큰 간격이 있다"라는 구절이 있고, 찰스 디킨스의 《어려운 시절》(1854)에는 "그들 사이에는, 그리고 잘못이 많은 일하는 여자 사이에는 깊은 간격이 놓여 있다."라는 구절이 있다. 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럴》과 《차임즈》는 이 이야기에 직접적인 언급을 하지 않지만, 《크리스마스 도서》 옥스퍼드판 서론에는 언급이 있다.[59]

허먼 멜빌의 《모비 딕》에서 이스마엘은 바람이 많이 불고 추운 밤을 나사로("불쌍한 나사로, 연석에 이를 부딪치며...")와 디베스("...나 자신의 석탄으로 나만의 여름을 만들 수 있는 특권")의 관점에서 묘사한다.[60]

T. S. 엘리엇의 시 "J. 알프레드 프루프록의 사랑 노래"에는 "말하리라: '나는 죽음에서 돌아온 나사로라,/너희 모두에게 말해주러 왔다, 내가 너희 모두에게 말하리라'"라는 구절이 있다.

리처드 크래쇼는 1646년 그의 《사원의 계단》을 위해 "나사로의 눈물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형이상학 시 연을 썼다:

>부유한 나사로여! 네 눈물의 보석은 더욱 풍부하다,

>디베스가 입은 옷보다:

>그는 지금 그것들을 경멸하지만, 오, 그것들은 지옥에서 그가 입어야 할 자주색 옷과 매우 잘 어울릴 것이다.[61]

에디스 시트웰의 시 "아직도 비가 내린다"에서 1941년에 처음 출판된 "장미의 성가"에는 디베스와 나사로가 등장한다. 이 시는 런던 대공습 이후에 쓰여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환멸로 가득 차 있다. 그것은 인간의 실패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또한 그리스도를 통해 세상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하나님의 참여에 대해 이야기한다:[62]

>

>아직도 비가 내린다

>십자가에 매달린 굶주린 자의 발에.

>그리스도여, 매일, 매 순간, 거기 못 박힌 자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디베스와 나사로에게:

>비 아래에서 상처와 금은 하나와 같다.[63]

5. 3. 음악

하인리히 쉬츠의 작품인 "''아버지 아브라함, 나를 불쌍히 여기소서''"(SWV 477, "''부자와 아브라함의 대화''")는 1620년대에 제작된 아브라함과 부자의 대화를 설정한 곡이다. 지옥 불꽃을 묘사하는 기교적인 텍스트 페인팅으로 유명하며, 오라토리오 발전의 발판이 된 "대화"의 중요한 예시이기도 하다.[64]

자코모 카리시미의 "''Dives Malus''" (사악한 부자, ''Historia Divitis''라고도 함)는 누가복음 텍스트를 라틴어로 의역한 것으로, 1640년대 로마 오라토리오에서 개인적으로 연주하기 위해 2명의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를 위한 오라토리오 형식으로 작곡되었다. 요한 필리프 푀르취 (1652–1732)의 독일어 종교 협주곡 ''Mensch, was du tust''도 있다.[64]

이 이야기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 1557년인 영어 민요로 등장했으며,[65] 사후 세계의 묘사는 기독교 전통에 맞게 변경되었다. 이 노래는 19세기에 Child Ballad 부자와 라자로로 출판되었다.[66] 랄프 본 윌리엄스는 이 민요를 바탕으로 관현악곡 ''Dives and Lazarus의 다섯 변주곡''(1939)을 작곡했으며,[67] 이 편곡을 찬송가 멜로디 ''Kingsfold''로 사용했다.[68] 벤자민 브리튼은 에디스 시트웰의 시 "Still Falls the Rain"을 5개의 칸티클 시리즈 중 세 번째 곡으로 작곡했다.[69]

전통적인 미국 복음성가 "Dip Your Fingers In The Water"는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여러 버전으로 녹음되었으며, 특히 민속 가수이자 시민권 운동가인 조시 화이트가 1947년 앨범 "Josh White – Ballads And Blues Volume 2"에 수록했다.[70] 가사에는 "Dip your finger in the water, come and cool my tongue, cause I'm tormented in the flame"이라는 후렴구가 반복된다.

5. 4. 미술

부자와 나사로 이야기는 중세 시대 교회 문 입구에 새겨진 예술 작품으로 자주 묘사되었다. 거지들이 앉아 자신들의 처지를 호소했던 모아삭과 툴루즈의 생 세르넹 대성당 등이 그 예시이다.[48] 부르주 대성당에는 이 이야기를 묘사한 현존하는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이 있다.[48]

6. 베다니의 나사로와의 혼동

'나사로'라는 이름(אלעזר|엘르아살he, "하나님은 나의 도움이시다")은 요한 복음에도 등장하는데, 여기에서 예수는 죽은 지 나흘 만에 베다니의 나사로를 부활시킨다.[49][50][51][52]

역사적으로 기독교 내에서 비유에 나오는 거지 나사로(축일 6월 21일)와 베다니의 나사로(축일 7월 29일)는 때때로 혼동되었으며,[53] 일부 교회에서는 로마 가톨릭교에서 이전에 베다니의 나사로와 관련된 날짜인 12월 17일에 거지와 관련된 개의 축복을 기념한다.[54][55]

참조

[1] 서적 The Parables of Jesus: A Commentary https://books.google[...] 2002-01-01
[2] 웹사이트 Luke, chapter 16 verse 19 https://www.vatican.[...] The Vatican 2013-07-16
[3] 서적 The Gospel According to Luke (I-IX) https://books.google[...] 1995-03-01
[4] 서적 The Early Versions of the New Testament: Their Origin, Transmission, and Limitations Clarendon Press
[5] 문서 Fitzmyer IX, Ad populum I (CSEL 18.91), spelled Finees; and in Pseudo-Cyprian, De pascha computus 17 (CSEL 3/3.265), spelled Finaeus
[6] 문서 Luke 16:19–31
[7] 서적 The Gothic Image: Religious Art in France of the Thi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8] 웹사이트 Jesus Database http://www.faithfutu[...]
[9] 문서 See R.M. Bredenhof, Failure and Prospect: Lazarus and the Rich Man (Luke 16:19–31) in the Context of Luke-Acts (LNTS 603; London: Bloomsbury T&T Clark, 2019), pp. 5-10.
[10] 서적 The Homilies of Saint Jerome
[11] 웹사이트 Webpage http://www.bible.ca/[...]
[12] 웹사이트 Church contact https://www.renoasse[...]
[13] 문서 For a review of ancient and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of the name 'Lazarus', see R.M. Bredenhof, "Looking for Lazarus: Assigning Meaning to the Poor Man in Luke 16.19–31", New Testament Studies 66 (2020), pp. 51-67.
[14] 문서 The IVP Bible Background Commentary
[15] 문서 Luke for Everyone
[16] 서적 Die Gleichnisse Jesu https://books.google[...] 1998-01
[17] 웹사이트 volume IV: pp. 17–32 http://www.orluthera[...]
[18] 문서 2007 edition p. 176
[19] 문서 Companion Bible p. 1489, citing "Lightfoot xii, 159–63"
[20] 문서 See many other examples in Lightfoot vol. xii. pp. 159–68 (Companion Bible, p. 1488)
[21] 웹사이트 Whittaker, H.A. Studies in the gospels. Biblia, Staffordshire 1984, 2nd Ed. 1989 p495 http://www.christade[...]
[22] 문서 Friedrich Gustav Lisco, (trans. Patrick Fairbairn) 'The parables of Jesus: explained and illustrated' 1853 p343 "Many expositors have thought they discovered, in this story, a real history, and referred it to the family of Annas and his son-in-law, Caiaphas,"
[23] 웹사이트 The Rich Man, Lazarus, and Abraham http://www.christade[...]
[24] 문서 Johann Nepomuk Sepp, ''Thaten und Lehren Jesu: mit ihrer weltgeschichtlichen Beglaubigung'' 1864.
[25] 웹사이트 Studies in the gospels http://www.christade[...] Biblia
[26] 문서 Friedrich Gustav Lisco, (trans. Patrick Fairbairn) 'The parables of Jesus: explained and illustrated' 1853 p. 343.
[27] 문서 "et c'est cet endurcissement que Jésus prédit quand il dit que du moment qu'ils n'écoutent ni Moïse ni les prophètes ils n'écouteront pas d'avantage quelqu'un qui viendrait de l'autre monde". Drioux Claude-Joseph ''La Bible populaire: hist. illustrée de l'Ancien et du Nouveau Testament.'' Hachette, Paris 1864 p. 497
[28] 서적 Resurrecting Interpretation: Technology, Hermeneutics and the Parable of the Rich Man and Lazarus http://simonperry.or[...] Wipf and Stock 2012-11-18
[29] 문서 Friedrich Justus Knecht (In German)
[30] 서적 A Practical Commentary on Holy Scripture B. Herder
[31] 웹사이트 Irenaeus. Against Heresies: Book II, ch. XXXIV. https://en.wikisourc[...]
[32] 웹사이트 E.W. Bullinger on Luke 16:19–31 http://www.bibleunde[...] 2014-09-23
[33] 웹사이트 The Rich man and Lazarus and the intermediate state http://www.afterlife[...] 2012-09-17
[34] 웹사이트 Lazarus and the Rich Man http://www.tentmaker[...] Tentmaker Ministries
[35] 웹사이트 What Happens When I Die? http://www.cupofwrat[...]
[36] 서적 The Gospel of St. Luke Penguin Books
[37] 서적 Parables of Jesus
[38] 서적 The New International Greek Testament Commentary: The Gospel of Luke
[39] 논문 Vom reichen Mann und armen Lazarus: eine literargeschichtliche Studie 1918
[40] 서적 The Interpreter's Bible Abingdon Press
[41] 간행물 Not Giving Heed to Jewish Fables (2): Abraham in the Underworld http://www.tidings.o[...] The Christadelphian Tidings of the Kingdom of God 2000-07
[42] 서적 The fate of the dead: studies on the Jewish and Christian apocalypses Brill 1998
[43] 서적 The fate of the dead: studies on the Jewish and Christian apocalypses Brill 1998
[44] 서적 The Rich Man, Lazarus, and Abraham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2000
[45] 간행물 Not Giving Heed to Jewish Fables (2): Abraham in the Underworld http://www.tidings.o[...] The Christadelphian Tidings of the Kingdom of God 2000-07
[46] 웹사이트 Against Plato, On the Cause of the Universe http://www.newadvent[...]
[47] 웹사이트 Saint Lazarus http://catholicsaint[...] 2013-06-11
[48] 서적 The Gothic Image, Religious Art in France of the Thirteenth Century Collins 1913
[49] 서적 The Parables of Jesus https://books.google[...] 1999-02-01
[50] 논문 From the History of Artistic Interpretations of the Biblical Story about the Lazarus Resurrection https://core.ac.uk/d[...] Siberian Federal University, Humanities & Social Sciences 2014
[51] 서적 All the People in the Bible: An A-z Guide to the Saints, Scoundrels, and Other Characters in Scripture https://books.google[...]
[52] 논문 Looking for Lazarus: Assigning Meaning to the Poor Man in Luke 16.19–31 New Testament Studies 2020
[53] 서적 La Bible populaire 1864
[54] 논문 Money talks: folklore in the public sphere Folklore 2005-12
[55] 문서 DECREE on the Celebration of Saints Martha, Mary and Lazarus in the General Roman Calendar https://www.vatican.[...] CONGREGATIO DE CULTU DIVINO ET DISCIPLINA SACRAMENTORUM
[56] 논문 Lazarus in Heaven The Burlington Magazine for Connoisseurs 1933-07
[57] 문서 The Summoners's Prologue and Tale https://archive.toda[...]
[58] 서적 The Other Nation OUP 1980
[59]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Dickens'': Christmas books 1998
[60] 서적 Moby-Dick https://books.google[...] Penguin Classics 2003
[61] 서적 The Works of the English Poets, from Chaucer to Cowper: Including the Series Edited with Prefaces, Biographical and Critical https://archive.org/[...] 1810
[62] 서적 Benjamin Britten: The spiritual dimens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63] 서적 The Oxford Book of War Poe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64] 기타 La Capella Ducale; Musica Fiata/Roland Wilson rec. live CPO 2007-10-26
[65] 서적 The English and Scottish popular Ballads 1886
[66] 웹사이트 The Oxford Book of Ballads, No. 109, Dives and Lazarus http://www.bartleby.[...] Bartleby 2001
[67] 서적 The works of Ralph Vaughan Williams Oxford University Press 1980
[68] 서적 A Selection of Shape-note Folk Hymns: From Southern United States Tune Books, 1816–61 https://books.google[...] 2005-01-01
[69] 서적 Letters from a Life: The Selected Letters of Benjamin Britten, 1913–1976, Volume 4: 1952–1957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8
[70] 웹사이트 Josh White – Ballads And Blues Volume 2 https://www.discogs.[...]
[71] 서적 Leper Knights: The Order of St. Lazarus of Jerusalem in England, c. 1150–1544 Boydell
[72] 웹사이트 History http://www.st-lazaru[...] 2009-09-14
[73] 서적 Leper Knights The Boydell Press
[74] 서적 口語訳聖書 日本聖書協会 Japan Bible Society, Tokyo
[75] 웹사이트 記事 アブラハムのふところ - ユダヤ百科事典 1905 http://www.jewishenc[...]
[76] 서적
[77] 인용
[78] 서적
[79] 서적
[80] 서적
[81] 서적 Horae Hebraicae et Talmudicae impensae
[82] 서적 Legends of the Jews
[83] 간행물 Sammelbuch Griechischer Urkunden aus Aegypten
[84] 서적 Apocalypse of Zephaniah Doubleday
[85] 서적 4 Maccabees Doubleday
[86] 서적 Thaten und Lehren Jesus
[87] 서적 La Bible populaire
[88] 서적 Studies in the Gospe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